반응형
제2차세계대전 당시 독일군에는 다양한 외국인 의용부대(Freikorps/Free Corps)와 징집병력이 존재하고 있었다고 한다. 프랑스나 영국과는 달리 해외식민지가 없었던 독일은 이들을 이용하여 부족한 병력을 메웠다고 한다.
▷ 독일 점령지역에서는 자발적인 독일 협력세력도 많았다, 대표적으로 프랑스 친독 의용대 '밀리스 (La Milice française)', '프랑스자위대', 덴마크 '샬부르크군단', 네델란드 '나치당', 벨기에 '렉시스트당' 등이 그런 조직이었다. 이들은 독일의 눈부신 사회개혁 - 농가부채동결, 토지개혁, 대대적인 공공건설사업을 통한 실업문제해결 등 - 성과에 고무되어 있었다.
특히 독일의 친위대(Schutzstaffel)소속 무장전투집단으로서 무장친위대(Waffen-SS, Heinrich Luitpold Himmler/하인리히 힘러)는 반공산주의자를 중심으로 의용군단(Freikorps)을 창설하는데 종전 무렵에는 무장친위대의 약60% 병력이 독일인이 아닌 외국인이었다고 한다.
# 영국자유군단 (British Free Corps(BFC, Britisches Freikorps)) ; 영국 및 영연방국가 시민들로 구성된 부대로 30명 내외의 인원으로 독일의 선전용으로 존재하였다 (미국자유군단 '조지워싱턴 여단' 또한 5명 내외의 병력이었다고 한다)
# 최근 강제규 감독의 할리우드 연출작 '노르망디 프로젝트(가제)'의 연출 및 제작팀 스태프를 모집하고 있다고 한다. ‘노르망디 프로젝트’는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배경으로 일본군에 징집된 뒤 역정을 거쳐 독일군 병사가 된 남자의 이야기로 알려져 있다. 2010-12-01
British Free Corps(BFC, Britisches Freikorps)
Ostbataillon (동방군단)
무슬림으로 구성된 독일군
▶ 밀리터리, 군용품/미군용품, 특전사/경찰/경호원, 전투화/전투식량. 군용품 쇼핑몰 알아보기[AD]
자료참고 :
# 알기쉬운 세계 제2차세계대전 5편 - 이대영지음, 하비스트
# Eastern Front Combatants
반응형
'전쟁영화 감상究 > 밀리터리 군사전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군 제34보병사단 (34th Infantry Division, Red Bull) (0) | 2007.06.24 |
---|---|
미군 제9보병사단 (9th Infantry Division, Varsity) (0) | 2007.06.24 |
버팔로 솔저 "Buffalo Soldiers" (0) | 2007.06.19 |
미군 제2기병사단 (2nd Cavalry Division) (0) | 2007.06.19 |
미군 제12보병사단 (12th Infantry Division, Philippine Division) (0) | 2007.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