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영화 감상究/밀리터리 군사전력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국방군 (Wehrmacht) 현황

하승범 2007. 7. 21. 02:11
반응형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국방군 (Wehrmacht, 독일육군) 현황

1935년 아돌프 히틀러(Adolf Hitler)가 재무장을 선언하기 전까지 독일군을 "라이히스베어 (Reichswehr), 베르사유조약에 따라 10만명을 보유할 수 있었던 독일제국군" (1918~1935)라고 하였다.  1935년 부터 독일군을 지칭하여 사용한 '베어마흐트(Wehrmacht), 독일국방군'(1935~1945)은 통상 제2차 세계대전까지의 독일군을 지칭한다.  (무장친위대 (Waffen-SS)는 독일국방군 소속이 아니였다)

독일국방군은 뷘스도르프(Wünsdorf)에 위치하는 국방군 총사령부 (Oberkommando der Wehrmacht, OKW)에 의해 작전에 대한 지휘와 감독을 받았다.  또한 각 군은 육군총사령부 (Oberkommando des Heeres, OKH), 해군총사령부 (Oberkommando der Marine, OKM), (Oberkommando der Luftwaffe, OKL) 등의 총사령부에 의해 실제적인 작전을 지휘했다.

제2차 세계대전이후 재무장을 시작한 1955년 부터 서독군은 '분데스베어 (Bundeswehr), 독일연방군'이라고 하였고 1956년 창설된 동독군은 나쇼날레 폴크스아르미 (Nationale Volksarmee), 국가인민군'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1990년 독일통일이후에는 독일군을 '분데스베어 (Bundeswehr), 독일연방군'으로 사용한다.

1939년 9월 독일 육군은 106개 사단 약 375만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1941년 6월 바르바로사작전 직전 독일 육군은 180개 보병사단, 12개 차량화보병사단, 20개 기갑사단 약 500만명으로 증가하였다.  1941년 6월 독일 공군도 낙하산부대와 대공포(Flak)부대를 포함하여 170만명, 독일 해군은 40만명이었다.  무장친위대도 1939년 5만명에서 1941년 15만명으로 증가된다. - 2차세계대전사, 존 키넌, 청어람미디어

독일 육군 (Das Heer)
# 참고 ; Heer - The Army 1935-1945 by Jason Pipes

■  기갑사단 Armored Division (Panzerdivision)
% 기갑사단은 1개 전차연대 (2개 전차대대로 구성)와 2개 차량화보병연대 (각각 2개 대대로 구성)된 1만 4,750명으로 구성되었다.

# 제 1 기갑사단 (1. Panzer Division)
   ; 39~40년 폴란드,프랑스 전역에 참전, 41년 바르바로사작전에 투입되고 재편을 위해 43년 프랑스로 이동하였다가 이후 발칸반도전역을 거쳐 동부전선에 재투입
# 제 2 기갑사단 (2. Panzer Division)
   ; 39~41년 폴란드,프랑스, 발칸반도 전역에 참전, 이후 동부전선에 투입되어 크게 손실되었고 44년 프랑스 노르망디, '팔레즈(Falaise)전차전' 및 발지전투에 투입.
# 제 3 기갑사단 (3. Panzer Division)
   ; 39~40년 폴란드,프랑스 전역에 참전, 41년 바르바로사작전에 투입
# 제 4 기갑사단 (4. Panzer Division)
   ; 39~40년 폴란드,프랑스 전역에 참전, 41년 바르바로사작전에 투입
# 제 5 기갑사단 (5. Panzer Division)
   ; 39~41년 폴란드,프랑스, 발칸반도 전역에 참전, 이후 동부전선에 투입
# 제 6 기갑사단 (6.Panzer-Division, 39년 이전 제 1 경량화사단)
   ; 40년 프랑스전역에 참전, 41년 바르바로사작전에 투입
# 제 7 기갑사단 (7.Panzer-Division, 39년 이전 제 2 경량화사단)
   ; 40년 프랑스전역에 참전, 당시 에르빈 롬멜 소장의 지휘아래 '유령사단(Gespenster-Division)'으로써 활약을 벌이고 41년 바르바로사작전에 투입
# 제 8 기갑사단 (8.Panzer-Division, 39년 이전 제 3 경량화사단)
   ; 40년 프랑스전역에 참전, 41년 바르바로사작전에 투입
# 제 9 기갑사단 (9.Panzer-Division, 39년 이전 제 4 경량화사단)
   ; 39~41년 폴란드,프랑스, 발칸반도 전역에 참전, 이후 동부전선에 투입, 44년 8월 프랑스 노르망디전역에 참전
# 제 10 기갑사단 (10.Panzer-Division)
   ; 39~40년 폴란드,프랑스 전역에 참전, 41년 바르바로사작전에 투입, 이후 42년 독일아프리카군단(DAK)으로 북아프라카전선 튀니지에 투입된 이후 43년 튀니지에서 소멸
# 제 11 기갑사단 (11.Panzer-Division)
   ; 44년 8월 프랑스 노르망디전역에 참전
# 제 12 기갑사단 (12.Panzer-Division, 40년 이전 제 2 기계화보병사단)
   ; 41년 바르바로사작전에 투입되어 동부전선에서 활동
# 제 13 기갑사단 (14.Panzer-Division, 40년 이전 제 14 보병사단)
   ; 41년 바르바로사전에 투입되었고 44년 부다페스트전투에서 전멸하여 45년 기갑군단 펠트헤른할레 소속의 펠트헤른할레2 기갑사단 (Panzer-Division Feldherrnhalle 2)으로 재편.
# 제 14 기갑사단 (14.Panzer-Division, 40년 이전 제 4 보병사단)
# 제 15 기갑사단 (15.Panzer-Division, 40년 이전 제 33 보병사단)
   ; 41년 독일아프리카군단(DAK)에 소속되어 북아프리카전선에 투입되어 43년 튀니지에서 소멸되고 일부 생존자를 중심으로 제15기갑척탄병사단으로 재편, 43년 7월 이탈리아 시칠리아전역에 참전
# 제 16 기갑사단 (16.Panzer-Division, 40년 이전 제 16 보병사단)
   ; 41년 발칸침공시 루마니아에 배치되었다가 41년 바르바로사작전에 투입, 42년 스탈린그라드전투에서 괴멸되었고 43년 재편성되어 시칠리 등 이탈리아전역에 참전하고 다시 동부전선에 투입.
# 제 17 기갑사단 (17.Panzer-Division, 40년 이전 제 27 보병사단)
   ; 41년 바르바르사작전에 투입되어 동부전선에서 활동
# 제 18 기갑사단 (18. Panzer-Division)
   ; 40년 바다사자작전(영국침공계획)에 투입될 목적으로 창설된 부대로 41년 바르바로사작전에 투입, 43년 쿠르스크 전투에서 괴멸되어 이후 '제18포병사단'으로 재편
# 제 19 기갑사단 (19. Panzer-Division)
# 제 20 기갑사단 (20. Panzer-Division)
   ; 41년 바르바르사작전에 투입되어 동부전선에서 활동
# 제 21 기갑사단 (21. Panzer-Division, 39년 이전 제 5경량화사단)
   ; 41년 독일아프리카군단(DAK)에 소속되어 북아프리카전선에 투입되어 43년 튀니지에서 소멸되고 이후 프랑스에서 재편성되어 노르망디 전역등에서 참전하고 45년 동부전선에 투입
# 제 22 기갑사단 (22. Panzer-Division)
   ; 41년 프랑스에서 창설되어 42년 동부전선에 투입, 스탈린그라드전투에서 전멸
# 제 23 기갑사단 (23. Panzer-Division)
# 제 24 기갑사단 (24. Panzer-Division)
# 제 25 기갑사단 (25. Panzer-Division)
# 제 26 기갑사단 (26. Panzer-Division, 40년 이전 제 23 보병사단)
   ; 42년 창설되어 서유럽 점령지경비업무를 담당하였고 43년 이탈리아전선에 투입
# 제 27 기갑사단 (27. Panzer-Division)
   ; 42년 창설되었으나 스탈린그라드전투이후 소련군이 반격으로 완련, 재편성이 되지 못한 부대
# 제 116 기갑사단 빈트훈트(116.Panzer-Division, Windhund, 40년 이전 제 16 보병사단)
   ; 40년 제16차량화보병사단(16.Infanterie-Division (mot))으로 재편되어 41년 바르바로사작전에 투입, 43년 제16기갑척탄병사단(16.Panzergrenadier-Division)로 개칭되어 프랑스로 이동 제116기갑사단으로 재편.노르망디 전투, '팔레즈(Falaise)전차전', 아헨(Aachen)공방전, 휘르트겐(Hürtgen) 숲 전투 및 발지 전투 등에 참전.
# 제 155 예비기갑사단 (155.Panzer-Division (Reserve))
# 제 178 기갑사단
# 제 179 예비기갑사단 (179.Panzer-Division (Reserve), 44년 제116기갑사단 빈트훈트에 흡수통합)
# 제 232 기갑사단
# 제 233 예비기갑사단 (233.Panzer-Division (Reserve))
# 제 273 예비기갑사단 (273.Panzer-Division (Reserve))
# 클라우제빗츠(Clausewitz)기갑사단
# 펠트헤른할러(Feldherrnhalle) 제1기갑사단 (40년 이전 제 60 보병사단)
# 펠트헤른할러(Feldherrnhalle) 제2기갑사단 (40년 이전 제 13 보병사단)
# 위테르복(Jüterbog)기갑사단
# 켐프(Kempf) 기갑사단   - 임시조직으로 독일육군(Heer)과 무장친위대(WaffenSS)의 혼성부대
# 쿠르마르크(Kurmark)기갑사단
# 기갑교도사단 (Panzer-Lehr-Division, 기갑교육지도부대, 제130교도기갑사단)
   ; 43년 연합군의 서유럽공격을 방어하기 위한 기갑전력으로 제1기갑학교 및 제2기갑학교의 정예훈련부대 및 교육부대를 바탕으로 편성된 정예기갑부대.  44년 6월 노르망디전역에 투입 '팔레즈(Falaise)전차전' 등에 참전
# 뮌헤베르크(Müncheberg)기갑사단
# 타트라(Tatra)기갑사단

■  경량화사단 (Light Mechanized or Light Panzer)
# 제 1 경량화사단 (1.leicht Division, 39년 폴란드전쟁 이후 제 6 기갑사단으로 개편)
# 제 2 경량화사단 (2.leicht Division, 39년 폴란드전쟁 이후 제 7 기갑사단으로 개편)
# 제 3 경량화사단 (3.leicht Division, 39년 폴란드전쟁 이후 제 8 기갑사단으로 개편)
# 제 4 경량화사단 (4.leicht Division, 39년 폴란드전쟁 이후 제 9 기갑사단으로 개편)
# 제 5 아프리카경량화사단 (39년 폴란드전쟁 이후  제 21 기갑사단으로 개편)

■  보병사단
% 보병사단은 3개 보병연대와 1개 포병연대 병력 1만 7,200명으로 구성되었다.  기계화사단(기갑척탄병사단)은 반무한궤도 장갑차 (또는 트럭)에 탑승한 9개 대대와 1개 돌격포대대로 구성되었다

# 제 1 보병사단
# 제 2 기계화보병 사단 (2.Infanterie-Divison (mot))
   ; 39~40년 폴란드,프랑스 전역에 참전, 40년 제12기갑사단(12.Panzer-Division)으로 재편되어 바르바로사작전에 투입.
# 제 3 기계화보병 사단 (3.Infantrie-Division (mot)) 
   ; 39~40년 폴란드,프랑스 전역에 참전, 40년 제3자동차화보병사단으로 재편되어 바르바로사작전에 투입되지만, 스탈린그라드전투에서 전멸. 이후 43년 386자동차화사단을 흡수하여 '제3기갑척탄병사단'으로 재편되어 43년 7월 이탈리아전역에 투입
# 제 4 보병사단  (4.Infantrie-Division)
   ; 39~40년 폴란드,프랑스 전역에 참전, 40년 제14기갑사단으로 재편
# 제 5 보병사단  (5.Infantrie-Division)
   ; 34년 10월 창설, 39년 폴란드전역에 참전하며 차량화되었으며, 이후 제5경보병사단으로 재편.
# 제 6 보병사단 (6.Infantrie-Division, Infanterieführer VI)
   ; 39년 자동차화보병사단으로 개편되었으며 이후 제6척탄병사단, 제6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제 7 보병사단 (7.Infantrie-Division)
# 제 8 보병사단 (8.Infantrie-Division)
   ; 이후 제8경보병사단, 제8엽병사단으로 개칭
# 제 9 보병사단 (9.Infantrie-Division)
   ; 이후 제9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제 10 보병사단 (10.Infantrie-Division, Kommandant von Regensburg)
   ; 39~40년 폴란드,프랑스 전역에 참전, 40년 제10자동차화보병사단으로 재편되고  43년 제10기갑척탄병사단으로 재편
# 제 11 보병사단 (11.Infantrie-Division)
# 제 12 보병사단 (12.Infantrie-Division)
   ; 39~40년 폴란드,프랑스 전역에 참전, 41년 바르바로사작전에 투입되었고 44년  제12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편되어 아헨 방어전, 휘르트겐 숲 전투, 벌지 전투 등에 참전
# 제 13 보병사단 (13.Infanterie-Division)
  ; 39~40년 폴란드,서유럽 전역에 참전, 41년 제13자동차화보병사단 (13.Infanterie-Division (mot))을 거쳐 제13기갑사단 (13.Panzer-Division)으로 재편되어 41년 바르바로사전에 투입되었고 44년 부다페스트전투에서 전멸하여 45년 기갑군단 펠트헤른할레 소속의 펠트헤른할레2 기갑사단 (Panzer-Division Feldherrnhalle 2)으로 재편.
# 제 14 보병사단 (後 제 14 기계화보병 사단/제 14 보병 사단)
  - 제 14 기계화보병 사단에서 다시 제 14 보병 사단으로 개편.
# 제 14 공군보병사단
# 제 15 보병사단
# 제 15 기갑척탄병사단 (前 제 33 보병사단/제 15 기갑사단)
   ; 43년 이탈리아전역에 참전, 44년 1월 몬테카시노 라피도강전투에서 미36보병사단(텍사스사단)에게 큰 타격을 줌.
# 제 16 보병사단 (16.Infanterie-Division)
   ; 40년 제 16 기갑사단과 제16 차량화보병사단 '빈트훈트'와  제16기갑척탄병사단, 제116기갑사단으로 재편
# 제 16 공군보병사단(後 제 16 국민척탄병 사단)
# 제 17 보병사단
# 제 18 보병사단  (18.Infanterie-Division)
   ; 39~40년 폴란드, 프랑스전역에 참전. 40년 제18 자동차화보병사단으로 개편되어 동부전선에 참전, 43년 제 18 기갑척탄병사단으로 편성
# 제 18 국민척탄병사단
# 제 19 보병사단(後 제 19 기갑 사단)
# 제 19 척탄병사단 (後 제 19 국민척탄병 사단)
# 제 20 기계화보병사단(後 제 20 기갑척탄병 사단)
# 제 21 보병사단
# 제 22 보병사단 (22.Infanterie-Division) 공중강습사단(Air Landing Troops))
   ; 39~40년 폴란드, 프랑스전역에 참전. 이후 제22공중강습사단(22.Luftlande-Infanterie-Division (Air Landing Infantry Division))으로 재편성되어 40년 노르웨이침공, 41년 크레타전투 참전. 45년 제22 국민척탄병사단 (22.Volksgrenadier-Division)으로 개칭
#
제 23 보병사단 (23.Infanterie-Division)

   ; 39년 폴란드전역에 참전하였으며 42년 제 26 기갑사단으로 개편되고 일부 9연대 및 67연대병력을 주축으로 새로운 '제23보병사단'을 창설, 동부전선에 투입
# 제 24 보병사단
# 제 25 보병사단 (後 제 25 기계화보병 사단/제 25 기갑척탄병 사단)
# 제 26 보병사단 (後 제 26 국민척탄병 사단)
# 제 27 보병사단
   ; 40년 제 17 기갑사단으로 개편
# 제 28 경보병사단(後 제 28 엽병 사단)
# 제 29 기계화보병사단 (29th Motorized Infantry Division)
   ; 36년 제29보병사단으로 창설되어 37년 제29차량화보병사단(29th Motorized Infantry Division)으로 개편, 39년 폴란드전역에 참전, 42년 스탈린그라드전투에서 괴멸, 43년 프랑스에서 345보병사단(345th Infantry Division)으로 개편. 이후 이탈리아 시칠리아전역에 제29기갑척탄병사단(29th Panzergrenadier Division)으로 개편되어 참전.
# 제 30 보병사단
# 제 31 보병사단(後 제 31 척탄병 사단/제 31 국민척탄병 사단)
# 제 32 보병사단
# 제 33 보병사단(後 제 15 기갑 사단/제 15 기갑척탄병 사단)
# 제 34 보병사단
# 제 35 보병사단(後 제 35 국민척탄병 사단)
# 제 36 보병사단(後 제 36 기계화보병 사단/제 36 보병 사단/제 36 척탄병 사단/제 36 국민척탄병 사사단)
# 제 38 보병사단
# 제 39 보병사단(後 제 41 요새 사단/제 41 보병 사단)
# 제 41 보병사단(前 제 39 보병 사단/제 41 요새 사단)
# 제 42 엽병사단(前 제 187 보충 사단)
# 제 44 보병사단(後 제 44 '호흐 운트 도이취마이스터(Hoch und Deutschmeister)' 제국척탄병 사단)
# 제 45 보병사단(後 제 45 척탄병 사단/제 45 국민척탄병 사단
# 제 46 보병사단
# 제 47 보병사단(前 제 156 사단/제 156 보충 사단, 後 제 47 국민척탄병 사단)
# 제 48 보병사단(後 제 48 국민척탄병 사단)
# 제 49 보병사단
# 제 50 보병사단
# 제 52 보병사단(後 제 52 야전훈련 사단/제 52 경비 사단)
# 제 56 보병사단
# 제 57 보병사단
# 제 58 보병사단
# 제 59 보병사단
# 제 60 보병사단 (60.Infanterie-Division)
   ; 39년 단치히점령작전에 투입되었던 나치돌격대(SA)의 에버하르트그룹 소속 돌격대원을 주축으로 창설. 40년 프랑스전역에 참전, 이후 제60 자동차화보병사단으로 개편되어 바르바로사작전에 투입. 스탈린그라드전투에서 전멸.  43년 기갑군단 펠트헤른할레 산하 제60 기갑척탄병사단 펠트헤른할레로 재편
# 제 61 보병사단 (61.Infanterie-Division)
   ; 39~40년 폴란드, 프랑스전역에 참전. 41년 바르바로사작전에 투입. 44년 제 61 국민척탄병사단(Volksgrenadier)로 개편
# 제 62 보병사단
# 제 64 보병사단
# 제 65 보병사단
# 제 68 보병사단
# 제 69 보병사단
# 제 70 주둔보병사단
# 제 71 보병사단 (71.Infanterie-Division)
   ; 39년 창설 40년 프랑스전역에 참전.  41년 바르바로사작전에 투입. 42년 벨기에에서 정비를 마치고 스탈린그라드전투에 참전했다가 괴멸. 43년 재편성되어 이탈리아전산의 몬테카시노전투 등에 참전
# 제 72 보병사단
# 제 73 보병사단  (73.Infanterie-Division)
   ; 39년 폴란드전역에 참전, 41년 바르바로사작전에 투입. 44년 세바스토폴과 크리미아반도에서 전멸, 이후 헝가리에서 재편성되어 바르샤바봉기 진압작전에 투입, 45년 단치히전투에서 괴멸
# 제 75 보병사단
# 제 76 보병사단
# 제 77 보병사단
   ; 44년 6월 노르망디전역에 참전
# 제 78 보병사단(後 제 78 돌격 사단/제 78 척탄병 사단/제 78 국민척탄병 사단/제 78 국민돌격대 사단)
# 제 79 보병사단(後 제 79 국민척탄병 사단)
# 제 80 보병사단
# 제 81 보병사단
# 제 82 보병사단
# 제 83 보병사단
# 제 84 보병사단
# 제 85 보병사단
# 제 86 보병사단
# 제 87 보병사단
# 제 88 보병사단
# 제 89 보병사단
# 제 90 경보병사단 (前 아프리카 특무 사단, 後 제 90 아프리카 경량화 사단/제 90 기갑척탄병 사단)
# 제 91 보병사단 (後 제 91 강하보병 사단)
   ; 44년 6월 노르망디상륙작전 당시 코탕탱반도에서 연합군과 전투
# 제 92 보병사단
# 제 93 보병사단
# 제 94 보병사단
# 제 95 보병사단(後 제 95 국민척탄병 사단)
# 제 96 보병사단
# 제 97 경보병사단(後 제 97 엽병 사단)
# 제 98 보병사단
# 제 99 경보병사단
   ; 40년 창설된 제99 경보병사단은 41년 바르바로사작전에 투입, 이후 제 7 산악사단으로 재편
# 제 100 경보병사단(後 제 100 엽병 사단)
# 제 101 경보병사단(後 제 101 엽병 사단)
# 제 102 보병사단
# 제 104 엽병사단
# 제 106 보병사단
# 제 110 보병사단
# 제 114 엽병사단
# 제 117 엽병사단
# 제 118 엽병사단
# 제 133 요새사단
# 제 140 특무사단(後 제 9 산악 사단)
# 제 141 보충사단
# 제 143 보충사단
# 제 147 보충사단
# 제 148 보충사단
# 제 149 야전훈련 사단
# 제 150 야전훈련 사단
# 제 151 사단(後 제 151 보충 사단)
# 제 152 사단
# 제 153 사단(後 제 153 보충 사단/제 153 야전훈련 사단/제 153 척탄병 사단)
# 제 154 사단(後 제 154 보충 사단/제 154 야전훈련 사단/제 154 보병 사단)
# 제 155 사단(後 제 155 기갑 사단/ 제 155 기갑 보충 사단)
# 제 155 야전훈련 사단(後 제 155 보병 사단)
# 제 156 사단(後 제 156 보충 사단/제 47 보병 사단/제 47 국민척탄병 사단)
# 제 156 야전보충 사단(後 제 156 보병 사단)
# 제 157 사단 (Division Nr. 157)
   ; 39년 창설된 사단으로 42년 157 예비사단 (157. Reserve-Division)으로 개칭, 44년 157 산악사단 (157. Gebirgs-Division)으로 재편되어 45년 8 산악사단으로 개칭. 북이탈리아전선에 투입
# 제 158 사단(後 제 158 보충 사단)
# 제 159 사단(後 제 159 보충 사단/제 159 보병 사단)
# 제 160 사단(後 제 160 보충 사단/제 160 보병 사단)
# 제 161 보병사단
# 제 162 보병사단(後 제 162 '투르케스탄(Turkestan)' 의용 보병 사단)
# 제 163 보병사단  (163. Infanterie-Division)
   ; 39년 창설되어 40년 노르웨이전역에 참전, 41년 핀란드에 배치, 제2차 소련-핀란드전쟁(연속전쟁)에 참전, 45년 베를린 포위전에서 전멸
# 제 164 보병 사단 (164. Infanterie-Division)

   ; 39년 창설되어 42년 요새사단 크레타로 개편, 이후 164 경아프리카사단으로 개편, 엘 알라메인 전투에 참전, 43년 튀니지에서 괴멸
# 제 165 보충사단
# 제 166 보충사단
# 제 167 국민척탄병사단
# 제 169 보병사단 (169. Infanterie-Division)
   ; 39년 창설되어 40년 프랑스전역에 참전, 41년 핀란드에 배치, 제2차 소련-핀란드전쟁(연속전쟁)에 참전
# 제 170 보병사단
# 제 171 보충사단
# 제 172 보충사단
# 제 173 보충사단
# 제 174 보충사단
# 제 181 보병사단
# 제 182 보충사단
# 제 183 국민척탄병사단
# 제 187 보충사단(後 제 42 엽병 사단)
# 제 188 사단(後 제 188 산악 보충 사단/제 188 산악 사단)
# 제 189 보충사단
# 제 191 보충사단
# 제 196 보병사단
# 제 198 보병사단
# 제 199 보병사단
# 제 201 경비사단
# 제 203 경비사단
# 제 205 보병사단(前 제 14 국경 수비 사단)
# 제 206 보병사단
# 제 207 보병사단(後 제 207 경비 사단)
# 제 208 보병사단
# 제 210 해안방어사단
# 제 211 국민척탄병사단
# 제 212 보병사단(後 제 578 국민척탄병 사단/제 212 국민척탄병 사단)
# 제 213 경비사단
# 제 214 보병사단
# 제 217 보병사단
# 제 218 보병사단
# 제 221 경비사단
# 제 228 보병사단
# 제 230 해안방어사단
# 제 233 기갑척탄병사단
# 제 242 주둔 보병사단
# 제 243 주둔 보병사단
   ; 43년 편성. 43년 동부전선에 참전, 44년 6월 노르망디상륙작전 당시 코탕탱반도 등에서 연합군과 전투
# 제 246 국민척탄병사단
# 제 250 보병사단
  - 일명 '청색 사단', 스페인군으로 구성
# 제 256 보병사단
# 제 257 국민척탄병사단
# 제 258 보병사단
# 제 269 보병사단
# 제 270 요새보병사단
# 제 271 국민척탄병사단
# 제 272 국민척탄병사단
# 제 274 주둔 보병사단
# 제 275 보병사단 (275. Infanterie-Division)
   ; 43년 프랑스에스 제223보병사단을 근간으로 창설. 노르망디전역과 휘르트겐 숲의 전투에 참전하여 전멸. 이후 제275국민척탄병사단으로 개칭
# 제 276 국민척탄병사단
# 제 277 국민척탄병사단
# 제 280 요새보병사단
# 제 281 경비사단(後 제 281 보병 사단)
# 제 285 경비사단
# 제 286 경비사단
# 제 291 보병사단
# 제 295 보병사단(後 제 295 요새 보병 사단)
# 제 302 주둔보병사단(後 제 302 보병 사단)
# 제 320 국민척탄병사단
# 제 325 경비사단
# 제 326 국민척탄병사단
# 제 331 보병사단
# 제 332 주둔보병사단(後 제 332 보병 사단)
# 제 334 보병사단 (334. Infanterie-Division)
   ; 42년 제80 보병사단을 근간으로 창설. 43년 북아프리카전선에 참전하여 튀니지에서 괴멸. 43년 프랑스에서 재편되어 이탈리아전역에 참전
# 제 337 국민척탄병사단
# 제 340 국민척탄병사단
# 제 344 주둔보병사단(後 제 344 보병 사단)
# 제 345 기계화보병사단
# 제 347 국민척탄병사단
# 제 349 국민척탄병사단
# 제 352 보병사단 (352. Infanterie-Division)
   ; 43년 프랑스에서 제321보병사단을 근간으로 창설, 44년 노르망디상륙작전 당시 오마하해변에서 미군 제1보병사단제29보병사단과의 치열한 방어전투에서 괴멸. 이후 제352 국민척탄병사단(352. Volksgrenadier-Division)으로 개칭되어 발지전투참전
# 제 361 국민척탄병사단
# 제 363 국민척탄병사단
# 제 381 야전훈련사단
# 제 382 야전훈련사단
# 제 386 기계화보병사단
# 제 388 야전훈련사단
# 제 389 주둔 보병사단
# 제 390 경비사단
# 제 390 야전훈련사단
# 제 391 경비사단
# 제 391 야전훈련사단
# 제 402 훈련사단 (402. Ausbildungs-Division)
# 제 403 경비사단
# 제 444 경비사단
# 제 454 경비사단
# 제 462 국민척탄병 사단
# 제 526 보충사단
# 제 541 척탄병사단(後 제 541 국민척탄병 사단)
# 제 542 척탄병사단(後 제 542 국민척탄병 사단)
# 제 543 척탄병사단
# 제 544 척탄병사단(後 제 544 국민척탄병 사단)
# 제 545 척탄병사단(後 제 545 국민척탄병 사단)
# 제 546 척탄병사단
# 제 547 척탄병사단(後 제 547 국민척탄병 사단)
# 제 548 척탄병사단(後 제 548 국민척탄병 사단)
# 제 549 척탄병사단(後 제 549 국민척탄병 사단)
# 제 550 척탄병사단
# 제 551 척탄병사단(後 제 551 국민척탄병 사단)
# 제 552 척탄병사단
# 제 553 척탄병사단(後 제 553 국민척탄병 사단)
# 제 558 척탄병사단(後 제 558 국민척탄병 사단)
# 제 559 척탄병사단(後 제 559 국민척탄병 사단)
# 제 560 척탄병사단(後 제 560 국민척탄병 사단)
# 제 561 동프로이센 제 1 척탄병사단(後 제 561 국민척탄병 사단)
# 제 562 동프로이센 제 2 척탄병사단(後 제 562 국민척탄병 사단)
# 제 563 척탄병사단(後 제 563 국민척탄병 사단)
# 제 564 척탄병사단(後 제 564 국민척탄병 사단)
# 제 565 국민척탄병사단
# 제 566 국민척탄병사단
# 제 567 국민척탄병사단
# 제 568 국민척탄병사단
# 제 569 국민척탄병사단
# 제 570 국민척탄병사단
# 제 571 국민척탄병사단
# 제 572 국민척탄병사단
# 제 573 국민척탄병사단
# 제 574 국민척탄병사단
# 제 575 국민척탄병사단
# 제 576 국민척탄병사단
# 제 577 국민척탄병사단
# 제 578 국민척탄병사단(前 제 212 보병 사단, 後 제 212 국민척탄병 사단)
# 제 579 국민척탄병사단
# 제 580 국민척탄병사단
# 제 581 국민척탄병사단
# 제 582 국민척탄병사단
# 제 583 국민척탄병사단
# 제 584 국민척탄병사단
# 제 585 국민척탄병사단
# 제 586 국민척탄병사단
# 제 587 국민척탄병사단
# 제 588 국민척탄병사단
# 제 702 주둔 보병사단
# 제 708 주둔 보병사단(後 제 708 해안 방어 사단/제 708 국민척탄병 사단)
# 제 709 주둔 보병사단
   ; 41년 창설. 42년 노르망디지역에 파병, 노르망디상륙작전 당시 유타비치 등에서 연합군과 전투
# 제 711 주둔 보병사단
   ; 44년 6월 노르망디상륙작전에 연합군과 전투
# 제 716 주둔 보병사단 (後 제 716 국민척탄병 사단)
   ; 44년 6월 노르망디상륙작전 당시 골드,주노, 소드비치에서 연합군과 전투
# 제 719 보병사단
# 제 805 사단
# 제 999 아프리카 경량화사단
# '퓌러 베글라잇(Führer Begleit)'사단   - 동부전선 사령부의 히틀러 호위 대대에서 조직됨.
# 총통척탄병사단
# 기갑척탄병사단 '브란덴부르크(Brandenburg)'

# 기갑척탄병사단 '펠트헤른할러(Feldherrnhalle)'
   ;39년 나치돌격대(SA)원을 주축으로 제60 보병사단 창설, 40년 프랑스전역에 참전, 이후 제60 자동차화보병사단으로 개편되어 바르바로사작전에 투입. 스탈린그라드전투에서 전멸.  43년 기갑군단 펠트헤른할레 산하 제60 기갑척탄병사단 펠트헤른할레로 재편
# 기갑척탄병사단 '그로스도이췰란트(Großdeutschland)'
# 교도척탄병사단
# 엽병(Jager)사단 알펜

■  산악사단(Mountain Troops)
# 제 1 산악사단 (1.Gebirgs-Division, 後 제 1 국민산악사단)
   ; 38년 창설되어 39~41년 폴란드, 프랑스, 발칸반도전역에 참전, 41년 바로바로사작전에 투입되고 43년 몬테네그로와 그리스에 주둔하며 점령지임무 및 파르티잔토벌작전에 투입, 44년 동부전선(헝가리)에 배치
# 제 2 산악사단 (2.Gebirgs-Division)
   ; 38년 오스트리아병합 이후 구오스트리군 6산악사단과 독일계 산악병을 중심으로 창설. 39~40년 폴란드 및 노르웨이전역에 참전하고 41년 핀란드을 통해 바르바로사작전에 투입. 44년 노르웨이를 거쳐 덴마크로 이동배치
# 제 3 산악사단 (3.Gebirgs-Division)
   ; 38년 오스트리아병합 이후 구오스트리군 5사단과 7사단을 통합하여 창설. 39~40년 폴란드 및 노르웨이전역에 참전하고 41년 핀란드을 통해 바르바로사작전에 투입.
# 제 4 산악사단 (4.Gebirgs-Division, Enzian)
   ; 40년 편성되어 발칸반도전역에 참전. 41년 바르바로사작전에 투입
# 제 5 산악사단 (5.Gebirgs-Division)
   ; 40년 제1산악사단과 제10보병사단을 근간으로 창설. 41년 발칸반도전역에서 크레타전투에 참전, 42년 동부전선에 투입되었다가 43년 이탈리아전선에 배치되어 서부알프스 등에서 활동
# 제 6 산악사단 (6.Gebirgs-Division)
   ; 40년 창설되어 점령지 프랑스에 배치, 41년 그리스침공작전에 투입된 후 스칸디나비아반도에 배치
# 제 7 산악사단 (7.Gebirgs-Division)
   ; 40년 창설된 제99 경보병사단은 41년 바르바로사작전에 투입, 이후 제 7 산악사단으로 재편, 42년 핀란드를 통해 동부전선에서 참전
# 제 8 산악사단 (8.Gebirgs-Division)
   ; 39년 창설된 사단 Nr. 157 (Division Nr. 157)은 42년 157 예비사단 (157. Reserve-Division)으로 개칭, 44년 157 산악사단 (157. Gebirgs-Division)으로 재편되어 45년 8 산악사단으로 개칭. 북이탈리아전선에 투입.
# 제 9 산악사단 (9.Gebirgs-Division)
   ; 45년 제3산악사단 139산악연대가 증강된 산악전 전문사단  "zbV 140 사단"과 제국노동봉사대 여단을 관리하며 차량화된 전투부대 '그림자사단(Steiermark)'를 기반으로 창설
#
제 188 산악사단 (188.Gebirgs-Division)

■ 스키사단
# 제 1 스키사단
   ; 43년 동부전선에서 스키여단으로 창설. 44년 정규사단으로 확장

■ 기병사단
# 제 1 기병 사단(後 제 24 기갑 사단)
# 제 3 기병 사단
# 제 4 기병 사단
# 코사크 기병 사단
  - 후에 무장친위대 소속으로 이전되어 두 개의 사단으로 쪼개짐.

■ 국경수비사단
# 제 14 국경 수비사단(後 제 205 보병 사단)
# 제 97 국경 수비사단

■ 포병사단
# 제 18 포병사단(前 제 18 기갑 사단)
# 제 309 포병사단
# 제 310 포병사단
# 제 311 포병사단
# 제 312 포병사단

■ 요새사단 (Festungs-Division)
# 단치히(Danzig) 요새사단(Festungs-Division)
# 프랑크푸르트/오데르(Frankfurt/Oder) 요새사단(Festungs-Division)
# 고텐하펜(Gotenhafen) 요새사단(Festungs-Division)
# 크레타(Kreta) 요새사단(Festungs-Division)
   ; 39년 창설된 164보병사단(164. Infanterie-Division)이 개편된 부대로 42년 164 경아프리카사단(164. Leichte Afrika Division)으로 개편
# 쉬테틴(Stettin) 요새사단(Festungs-Division)
# 스비네문델(Swinemunde) 요새사단(Festungs-Division)
# 바샤우(Warschau) 요새사단(Festungs-Division)

■ 훈련사단
# 바이에른 훈련사단
# 쿠를란트 훈련사단
# 노르트 훈련사단

■ 야전예비사단
# A 야전예비사단
# B 야전예비사단
# C 야전예비사단
# D 야전예비사단
# E 야전예비사단
# F 야전예비사단

독일해군 (Kriegsmarine)
# 참고 ; Kriegsmarine - The Navy 1935-1945 by Jason Pipes

■ 해군보병사단
# 제 1 해군 보병사단 (1.Marine-Infanterie-Division)
   ; 45년 해군저격병여단 노르트를 기반으로 편성
#
제 2 해군 보병사단 (2.Marine-Infanterie-Division)
# 제 3 해군 보병사단 (3.Marine-Infanterie-Division)
# 제 11 해군 보병사단 (11.Marine-Infanterie-Division)
# 제 16 해군 보병사단 (16.Marine-Infanterie-Division)
# 해군 보병사단 고텐하펜 (Gotenhafen)

독일공군 (Luftwaffe)
# 참고 ; Luftwaffe - The Airforce 1935-1945 by Jason Pipes

■ '헤르만 괴링(Hermann Göring)'사단
# '헤르만 괴링' 사단 
   ; 43년 7월 '헤르만 괴링'기갑사단으로 재편되어 이탈리아 시칠리아전역에 참전
#
'헤르만 괴링' 제 2 강하기갑척탄병 사단

■ 공수사단 (강하엽병. 팔쉐름 야거 (Fallschirmjäger))
39년 제7공수사단은 1개 공수소총연대와 1개 대대로 구성되어 있었고 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하는 39년 7월 사단 예하 3개 연대 중 2개 연대 편성이 끝났다.  그러나 43년~44년 독일공수부대는 확대,개편되어 44년 여름 훈련된 공수병력 3만명을 보유하였다고 한다.

독일공수사단(Parachute Division)의 완전편제병력은 3개 낙하산연대, 1개 대전차대대, 사단본부, 전투지원부대들로 구성되어 15,976명이었다.


# 제 7 비행(공수)사단 (독일군 최초의 공수사단, 7th Flieger Division)
   ; 38년 낙하산,글라이더,항공수송부대를 통합하여 창설. 39~40년 폴란드, 노르웨이전역에 참전, 40년 발칸반도전역에서 그리스침공 및 크레타작전에 투입, 41년 동부전선에 투입
# 제 1 낙하산사단 (1st Parachute Division (몬테카시노의 녹색악마))
   ; 43년 제7공수사단(7th Flieger(Air) Division)이 개칭되어 편성.  이탈리아 시칠리아, 안지오, 몬테카시노전선, 고딕방어전 등에 투입. 45년 5월 북이탈리아 알프스전역에서 괴멸
# 제 2 낙하산사단 (2nd Parachute Division)
   ; 43년 7월 프랑스에서 북아프리카전선 튀니지에서 괴멸한 람케공수여단의 잔존병력 등을 근간으로 편성, 43년 9월 이탈리아 로마점령작전을 수행하고 43년 동부전선 투입, 44년 동부전선에서 철수, 44년 예하 제6낙하산연대가 노르망디해안에서 미군 제1보병사단과 최초로 전투, 44년 9월 팔레즈전투에서 람케사단장 등이 포로가 되면서 괴멸. 44년 말 네델란드에서 재편성되었으나 45년 4월 루르고립지대에서 항복
# 제 3 낙하산사단 (3rd Parachute Division)
   ; 43년 10월 프랑스 랭스에서 창설, 44년 노르망디전역에 투입, 아르덴공방전에서 활동 (예하 제9낙하산연대 일부는 파이퍼(Peiper) 전투단에 배속되어 활동), 45년 독일본토결전에서 괴멸
# 제 4 낙하산사단 (4th Parachute Division)
   ; 43년 11월 창설 (이탈리아 넵보(Nembo)공수대대, 폴고레(Folgore)공수사단 합류), 44년 이탈리아 안지오전선, 고딕방어전 등에 투입, 45년 5월 북이탈리아 알프스전역에서 괴멸
# 제 5 낙하산사단 (5th Parachute Division)
   ; 43년 말 프랑스 랭스에서 창설, 44년 완편되기 전에 예하 제15낙하산연대가 노르망디전역에 투입, , 아르덴공방전에서 활동하며 바스토뉴공격 등에 참전, 45년 4월 루르고립지대에서 항복
# 제 6 낙하산사단 (6th Parachute Division)
   ; 43년 프랑스 아미앵에서 창설. 44년 6월 노르망디상륙작전 당시 제91강하보병사단에 배속되어 코탕탱반도, 카랑탕 등에서 연합군과 전투
# 제 7 낙하산사단 (7th Parachute Division) ('에르트만(Erdmann)' 부대)
# 제 8 낙하산사단 (8th Parachute Division)
# 제 9 낙하산사단 (9th Parachute Division)
   ; 44년 마지막 낙하산사단으로 편성되어 동부전선에 참전, 45년 베를린방어전에 투입
# 제 10 낙하산사단 (10th Parachute Division)
   ; 45년 오스트리아를 거쳐 동부전선에 투입
# 제 11 낙하산사단 (11th Parachute Division)
  ; 45년 린츠(Linz)에서 창설되었으나 단지 4천여명의 병력으로 서부전선에 투입
# 제 20 낙하산사단 (20th Parachute Division)
   ; 45년 3월 북부 네델란드에서 창설되었으나 그 이상 알려진 내용이 없음
# 제 21 낙하산사단 (21st Parachute Division)
  ; 45년 4월 창설되었다는 기록 이외에 알려진 내용이 없음
# 람케공수여단(Ramcke Parachute Brigade, Fallschirmjäger-Brigade Ramcke)
   ; 42년 지중해 몰타섬 공격부대로 창설, 42년 7월 북아프리카전선에 투입, 43년 튀니지에서 전멸, 이후 잔존병력은 제2낙하산사단으로 재편
# 무장친위대(Waffen-SS) 제500친위공수대대
   ; 43년 9월 나찌친위대 징벌대대에 소속된 죄수들을 근간으로 창설.  44년 5월 유고슬라비아 유격대장 요시프 티토(Josip Tito) 생포작전에 투입.(나이트 무브(Knight Move) 작전)
# 무장친위대(Waffen-SS) 제600친위공수대대
   ; 나이트 무브(Knight Move) 작전에서 생존한 제500친위공수대대의 잔존인력으로 재편, 개칭되어 동부전선에 투입

■ 공군야전사단
# 제 1 공군야전사단
# 제 2 공군야전사단
# 제 3 공군야전사단
# 제 4 공군야전사단
# 제 5 공군야전사단
# 제 6 공군야전사단
# 제 7 공군야전사단
# 제 8 공군야전사단
# 제 9 공군야전사단
# 제 10 공군야전사단
# 제 11 공군야전사단
# 제 12 공군야전사단
# 제 13 공군야전사단
# 제 14 공군야전사단
# 제 15 공군야전사단
# 제 16 공군야전사단 (육국 제16 공군보병사단으로 편입)
# 제 17 공군 야전사단
# 제 18 공군 야전사단
# 제 19 공군 야전사단 (제 19 공군돌격(Sturm)사단으로 개칭, 이후 육군 제19 척탄병사단으로 편입)
# 제 20 공군 야전사단 (제 20공군돌격(Sturm)사단으로 개칭)
# 제 21 공군 야전사단 (前 '마인틀(Meindl)' 사단)
# 제 22 공군 야전사단 (실제로 편성되지 못함)

■ 훈련사단
# 제 1 공군 훈련 사단
# 강하엽병 훈련·보충 사단

■ 방공사단 (FLAK)
# 제 1 방공사단
# 제 2 방공사단
# 제 3 방공사단
# 제 4 방공사단
# 제 5 방공사단
# 제 6 방공사단
# 제 7 방공사단
# 제 8 방공사단
# 제 9 방공사단
# 제 10 방공사단
# 제 11 방공사단
# 제 12 방공사단
# 제 13 방공사단
# 제 14 방공사단
# 제 15 방공사단
# 제 16 방공사단
# 제 17 방공사단
# 제 18 방공사단
# 제 19 방공사단
# 제 20 방공사단
# 제 21 방공사단
# 제 22 방공사단
# 제 23 방공사단
# 제 24 방공사단
# 제 25 방공사단
# 제 26 방공사단
# 제 27 방공사단
# 제 28 방공사단
# 제 29 방공사단
# 제 30 방공사단
# 제 31 방공사단

무장친위대 (Waffen-SS)

# 제 1 SS 기갑사단 '아돌프 히틀러' (1. SS-Panzer-Division "Leibstandarte Adolf Hitler")
   ; 호위경호부대로 창설되어 42년 기갑사단으로 재편 (LSSAH)되어 동부전선에 투입, 43년 이탈리아전역에 참전하여 로마점령. 44년 프랑스 노르망디전역 '팔레즈(Falaise)전차전' 참전
# 제 2 SS 기갑사단 '다스 라이히' (2. SS-Panzer-Division Das Reich)
   ; 41년 편성된 무장친위대 기갑사단, 44년 프랑스 노르망디전역 '팔레즈(Falaise) 전차전' 참전
   ; 추상 (Le Vieux Fusil, The Old Gun, 낡은 엽총) 1975년 프랑스, 독일 : 1944년 6월 프랑스 오라두르쉬르글란 학살을 다룬 영화.
# 제 3 SS 기갑사단 '토텐코프' (3. SS-Panzer-Division 'Totenkopf')
   ; 40년 편성된 무장친위대 기갑사단
# 제 4 SS 경찰기갑척탄병사단 (4. SS Polizei-Panzergrenaidier-Division)
   ; 43년 경찰대원을 주축으로 창설된 기갑척탄병사단
# 제 5 SS 기갑사단 '비킹(Wiking)' (5. SS-Panzer-Division "Wiking")
   ; 40년 게르만계 외국인들로 구성된 최초의 무장친위대로 그 용맹을 떨쳤던 기갑사단
# 제 6 SS 산악사단 '노르트(Nord)'
   ; 41년 편성되어 핀란드전역에서 활동
# 제 7 SS 의용산악사단 '프린츠 오이겐(Prinz Eugen)'
   ; 42년 독일계 세르비아인들을 주축으로 구성되었으며 유고슬라비아의 빨치산토벌에 주력동
#  제 8 SS 기병사단 '플로리안 가이어' (8. SS-Kavallerie-Division Florian Geyer)
   ; 39년 폴란드전역에서 치안임무를 담당하며 악명을 떨쳤던 제 1 SS해골기병연대(SS-Totenkopf Reiterstandarte)을 근간으로 하는 부대로 동부전선에서 활동하며 주로 소련군유격대(파르티잔) 토벌임무를 수행한 무장친위대 기병사단
# 제 9 SS 기갑사단 '호엔슈타우펜' (9. SS-Panzer-Division "Hohenstaufen")
   ; 43년 프랑스에서 제국노동봉사대(RAD)를 근간으로 기갑척탄병사단으로 편성되어 이후 기갑사단으로 승격. 44년 동부전선에 투입되었다가 노르망디상륙작전으로 프랑스전역으로 이동하여 노르망디, 아른험(마켓가든작전), 아르덴느공세 등에서 활동한 무장친위대 기갑사단
# 제 10 SS 기갑사단 '프룬츠베르크' (10. SS-Panzer-Division "Frundsberg")
   ; 동부전선에 투입되었다가 44년 6월 노르망디상륙작전으로 프랑스전역으로 이동, 아른험(마켓가든작전) 참전
# 제 11 SS 의용기갑척탄병사단 '노틀란트(Nordland)'
# 제 12 SS 기갑사단 '히틀러유겐트' (12. SS-Panzer-Division "Hitlerjugend")
  ; 43년1926년 출생한 히틀러청소년단(Hitlerjugend)으로 전원 구성된 SS 기갑척탄병 사단이 편성되고 이후 기갑사단으로 재편성, 서유럽의 노르망디전역에 투입, '팔레즈(Falaise)전차전' 등에서 활동
# 제 13 SS 제 1 크로아티아 산악 사단 '한자르(Handschar)'
   ; 43년 프린츠 오이겐사단과 크로아티아 반공의용군을 중심으로 편성.
# 제 14 SS 제 1 우크라이나 척탄병 사단 '갈리치언(Galizien)'
   ; 우크라이나인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편성
#
제 15 SS 제 1 라트비아 척탄병 사단
   ; 라트비아 경찰을 중심으로 편성. 45년베를린 공방전에서 전멸.
#
제 16 SS 기갑척탄병사단 라이히스퓌러(Reichsführer)
   ; 43년 코르시카섬의 게릴라 토벌을 위해 창설
# 제 17 SS 기갑척탄병사단 '굇츠 폰 베를리힝엔' (17. SS-Panzergrenadier-Division Götz von Berlichingen)
   ; 43년 프랑스에서 루마니아출신 징집병을 중심으로 편성된 무장친위대 기계화보병사단으로 서유럽 전선에서 활동. 44년 6월 노르망디전역에 참전
# 제 18 SS  의용기갑척탄병사단 '호르스트 벳셀(Horst Wessel)'
   ; 44년, 헝가리와 유고슬라비아의 나치당원을 모아 창설
#
 제 19 SS 제 2 라트비아 척탄병사단
   ; 리트비아인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편성
#
 제 20 SS 제 1 에스토니아 척탄병사단
   ; 에스토니아인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편성
#
 제 21 SS 제 1 알바니아 산악사단'스칸더베르크(Skanderberg)'
   ; 알바니아인 나치당원으로 편성. 44년에 해산하여 21산악척탄병연대로 편입됨.
#
제 22 SS 의용기병사단 '마리아 테레지아(Maria Theresia)'
   ; 헝가리인으로 구성된 기병사단
#
 제 23 SS 산악사단 '카마(Kama)' 제 2 크로아티아
   ; 크로아티아인을 중심으로 편성된 무장친위대
#
 제 23 SS 의용기갑척탄병사단 '네덜란트(Nederland)' 제 1 네덜란드
   ; 네델란드인을 중심으로 편성된 무장친위대 기갑척탄병사단
#
 제 24 SS 산악사단 '카르스트얘거(Karstjäger)' 이탈리아
   ; 독일계 이탈리아인으로 구성된 무장친위대로 주로 파르티잔 소탕전의 임무를 수행
#
 제 25 SS 척탄병사단 '훈야디(Hunyadi)' 제 1 헝가리
   ; 헝가리인으로 구성된 무장친위대
#
 제 26 SS 척탄병사단 '훈가리아(Hungaria)' 제 2 헝가리
   ; 헝가리인으로 구성된 무장친위대
#
 제 27 SS 의용척탄병사단 '랑에마르크(Langemarck)' 제 1 플랑드르
   ; 벨기에인 나치당원으로 구성된 무장친위대
#
 제 28 SS 의용척탄병사단 '발로니언(Wallonien)' 러시아
# 제 29 SS 제 1 러시아 척탄병사단
# 제 29 SS 제 1 이탈리아 척탄병사단
# 제 30 SS 제 2 러시아 척탄병사단
   ; 러시아 탈영병을 중심으로 구성된 무장친위대
#
 제 30 SS 제 1 벨로루시 척탄병사단
# 제 31 SS 의용척탄병사단 '뵈멘-매렌(Böhmen-Mähren)' 또는 '바취카(Batschka)'
# 제 32 SS 의용척탄병사단 '1월 30일(30 Januar)'
# 제 33 SS 제 3 헝가리기병사단
# 제 33 SS 척탄병사단 '샤를마뉴(Charlemagne)' 제 1 프랑스
# 제 34 SS 의용척탄병사단 '란트슈토름 네덜란트(Landstorm Nederland)'
# 제 35 SS 경찰 척탄병사단
# 제 36 SS 척탄병사단
# 제 37 SS 의용기병사단 '륏초브(Lützow)'
# 제 38 SS 척탄병사단 '니벨룽엔(Nibelungen)'
# '켐프(Kempf)'기갑사단 - 임시조직으로 독일육군(Heer)과 무장친위대(WaffenSS)의 혼성부대
# 무장친위대(Waffen-SS) 제500친위공수대대
   ; 43년 9월 나찌친위대 징벌대대에 소속된 죄수들을 근간으로 창설.  44년 5월 유고슬라비아 유격대장 요시프 티토(Josip Tito) 생포작전에 투입.(나이트 무브(Knight Move) 작전)
# 무장친위대(Waffen-SS) 제600친위공수대대
   ; 나이트 무브(Knight Move) 작전에서 생존한 제500친위공수대대의 잔존인력으로 재편, 개칭되어 동부전선에 투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