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동지역 분쟁사

셉템버 오브 쉬라즈 (Septembers of Shiraz) 2015년 미국

by 하승범 2016. 8. 20.

셉템버 오브 쉬라즈 (Septembers of Shiraz) 2015년 미국

1979년 이란 이슬람 혁명 당시 유대인이라는 이유 만으로 억울하게 투옥된 보석감정인 그 가족의 갑작스러운 혼돈과 행복을 되찾고자하는 막막한 투쟁을 그린 작품으로 이란계 미국인 작가 '달리아 소퍼 (Dalia Sofer, 1972년 ~ )'가 이란 혁명 당시 실제 경험에 기초하여 2007년 출간한 동명 소설을 영화화하였다.

감독 : 웨인 블레어 Wayne Blair
출연 : 애드리언 브로디 Adrien Brody 쇼레 아그다쉬루 Shohreh Aghdashloo 셀마 헤이엑 Salma Hayek 나비드 아카반 Navid Akhavan 아론 아붓불 Alon Abutbul

"모든 혁명은 기존 사회를 해체한다. 그런 의미에서 혁명은 사회적이다"
카를 하인리히 마르크스 (Karl Heinrich Marx)


제1차 세계대전 직후 영국의 지원 아래 군부 투데타를 통해 정권을 잡은 레자 칸 대령은 1925년 12월 15일 팔레비 왕조를 선포하고 스스로 왕위에 오른다. 

레자 샤 팔레비 (팔레비 1세, 1877년 3월 16일 ~ 1944년 7월 26일)는 집권 후 강력한 중앙군을 창설하고 부족 민병대 해체 등 중앙집중화 정책을 펼치며 반발세력에 대해 강력히 탄압한다.  특히 레자 샤 팔레비는 서구적인 근대화 정책을 추진하고 사회의 서구식 세속화 정책을 강행한다.

그러나 레자 샤 팔레비가 독일과 가까워지자 1941년 8월 영국과 소련이 이란을 침공하게 한다. 결국 1941년 9월 6일 레자 샤 팔레비는 아들 무함마드 레자 팔레비 (팔레비 2세, 1919년 10월 16일 ~ 1980년 7월 27일)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망명한다.

1951년 이란국민전선 지도자 무함마드 모사데그 (Mohammad Mossadegh, 1882년 ~ 1967년 3월 5일)가 수상에 취임하며 '석유의 국유화'가 이루어진다. 미국과 영국은 이에 반발하여 모사데크정부 전복을 시도한다. 결국 미국과 영국의 지원하에 1953년 8월 군부쿠데타를 통해 무함마드 레자 팔레비 왕정을 복원시킨다.

무함마드 레자 팔레비는 이후 세속주의, 근대화 정책을 밀고 나가며 토지개혁, 여성참정권 부여 등 근대화를 추진하였다. 그러나 왕권 안정을 위한 국방비 증액과 인플레이션, 생필품 부족 등에 대한 국민의 불만, 이슬람 전통을 중시하는 원리주의 무슬림·민족주의 세력의 반발을 불러 이란 이슬람 혁명의 원인이 되고 말았다.


이란 이슬람 혁명 (이란혁명, Iranian Revolution of 1979) : 1979년 이란에서 입헌군주제도하에 친미독재정권이었던 팔라비(파흘라비) 왕조가 무너지고 이슬람 종교 지도자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 (Ruhollah Mostafavi Musavi Khomeini, 1902년 9월 23일 ~ 1989년 6월 3일)'가 최고 권력을 가지는 신정(神政)정치체제로 변화되는 결과를 낳은 시민혁명이다.

이란혁명을 통해 수립된 이란 이슬람 공화국은 이슬람 원리와 율법을 국가의 통치이념으로 하는 국가로 이슬람 성직자가 최고지도자로서 국민을 통치하는 정치체제로 만들어진다. 이는 이란 시아파 이슬람의 역사와 문화적 전통에 그 뿌리를 두고 있는 호메이니의 '이슬람법학자통치론'에 근거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