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영화 감상究/전쟁역사 그리고...

인도-파키스탄 간의 분쟁이 전쟁으로 확대될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하승범 2025. 5. 3.
반응형

지난 4월 22일 인도령 카슈미르(Kashmir) 파할감(Pahalgam) 인근 바이사란 계곡(Baisaran Valley)에서 관광객을 향한 총격 테러(Kashmir Terror, 2025 Pahalgam attack, 사망 26명 부상 17명 발생) 이후 인도와 파키스탄 간 군사적 긴장이 극도로 고조되고 있다. 

 

테러 직후 파키스탄 계열 이슬람 무장단체인 '저항전선(The Resistance Front, TRF)'이 자신의 소행이라고 주장했는데, 인도 정부는 이 사건의 배후로 파키스탄의 개입을 주장하고 있다.

 

현재 인도와 파키스탄은 국경(실질 통제선(LoC))에서 교전, 외교관 추방, 무역 중단, 비자 취소, 영공 폐쇄, 인더스 워터스 조약(IWT, 1960년 체결)과 심라 평화협정(Shimla Agreement, 1972년) 등 중단 등 전례 없는 강경 조치를 주고받고 있다.

 

 

인도와 파키스탄은 주로 카슈미르(Kashmir) 지역의 영유권을 둘러싸고 오랜 기간 분쟁이 이어지고 있다. 1947년 영국의 인도 식민지 통치가 끝나면서 힌두교 중심 인도와 이슬람교 중심 파키스탄으로 분리·독립한 뒤, 곧바로 분쟁의 불씨가 되었다 (Indo-Pakistani wars and conflicts)

 

카슈미르(Kashmir)는 종족 구성상 파키스탄에 귀속될 가능성이 컸으나, 잠무 카슈미르 왕국(Jammu and Kashmir) 힌두교 지도자가 인도에 통치권을 넘기면서 1947년 1차 인도-파키스탄 전쟁(1947년 10월 22일~1949년 1월 5일)이 발발했었다.

 

이후 다시 카슈미르 영유권 분쟁으로 1965년 2차 인도-파키스탄 전쟁(1965년 8월 5일~9월 23일)을 치르고 방글라데시(동파키스탄) 독립과 관련하여 1971년 3차 인도-파키스탄 전쟁(1971년 3월 26일~12월 16일)을 겪었다. 이후에도 국지적 무력 충돌을 반복하고 있다.

 

이처럼 인도와 파키스탄 분쟁은 종교, 민족, 영토, 자원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으며, 최근에도 군사적 충돌 가능성이 높아지는 등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국제적 분쟁지역이다.

 

 

인도-파키스탄 분쟁을 배경으로 한 영화들 :

# 파이터 (Fighter) 2024년 인도 : 2019년 인도-파키스탄 분쟁 배경 인도 공군 탑건 영화

# 호텔 뭄바이 (Hotel Mumbai) 2018년 오스트레일리아 : 2008년 파키스탄 분리주의 단체의 뭄바이 테러 실화 배경

# 셰르샤 (Shershaah) 2021년 인도 : 인도 군인 비크람 바트라(Capt. Vikram Batra)의 1999년 카르길 전투(Kargil War)에서의 활약을 그린 전기 영화

# 군잔 삭세나 : 더 카르길 걸 (Gunjan Saxena: The Kargil Girl) 2020년 인도 : 인도 여성 최초의 인도공군(IAF) 헬기 조종사로 1999년 카르길 전투(Kargil War)에 참전하여 부상병 후송과 물자수송 임무를 수행했던 군잔 삭세나(Gunjan Saxena) 중위에 관한 실화를 그린 작품

# 바라트 (Bharat, 2019) : 한국영화 '국제시장' 리메이크 작품으로 인도-파키스탄 분할 당시 가족의 이별, 아픔 등을 그린 작품

# 스페셜포스: 써지컬 스트라이크 (URI : The Surgical Strike) 2019년 인도 : 2016년 9월 캬슈미르 우리 공격 (Uri attack)에 대한 인도군 특수부대의 보복작전을 그린 영화

 

 

현재 전면전으로 확대될 위험이 최근 수년 내 가장 높은 수준이지만, 양국 모두 핵 억지력과 국제 압력, 경제적 부담 등을 고려해 완전한 전쟁보다는 제한적 군사 충돌과 외교적 긴장 상태가 이어질 가능성이 더 높다.

 

그러나 사소한 오판이나 추가 테러, 대규모 군사 도발이 발생할 경우, 단기간에 전면전으로 비화할 위험성도 결코 배제할 수 없다 () 2025-05-01 스티븐의 전쟁영화보고평

 

2025년 5월 7일 새벽 인도군 대파키스탄 군사작전 '신두르 작전(Operation Sindoor)' 개시 - 파키스탄과 파키스탄 잠무 카슈미르 등 9개 지역의 테러 인프라에 대해 미사일 공격하였다.

 

이 미사일 공격으로 최소 8명이 사망했는데 파키스탄은 이를 '노골적인 전쟁 행위(blatant act of war)'로 곧 반격할 것이라고 주장하며 미사일로 반격했다 () 2025-05-07 스티븐의 전쟁영화보고평

 

파키스탄은 인도에 대한 대규모 보복성 군사행동 '분야눈 마르수스(Bunyanun Marsoos)'작전으로 인도 비아스에 위치한 브라모스 미사일 저장 시설, 파탄코드와 우담푸르 공군기지 등 전략적 군사시설을 공격하여 인도 공군 최신예 라팔 전투기 등을 격추하였다.

 

2025년 5월 10일, 미국 트럼프 정부의 중재로 인도와 파키스탄은 전격적으로 휴전에 합의했다. 하지만 휴전 후에도 국경에서 분쟁이 발생했고 있다는 보도에 인도는 파키스탄의 휴전 협정 위반을 지적했다. 하지만 파키스탄은 이를 전면 부인하고 있다 () 2025-05-12 스티븐의 전쟁영화보고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