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영화 감상究/밀리터리 군사전력

1950년 6월 한국전쟁 당시 한국군 현황

하승범 2008. 9. 2. 00:00
반응형

1945년 11월 13일, 미 제24군단장 하지(John R. Hodge)중장에 의해 군정법령 28호으로 제24군단 헌병참모를 책임자로 하여 "국방사령부 (Office of the Director of the National Defence)"를 설치한다.  국방사령부는 육군 3개보병사단으로 구성된 1개 군단, 공군 2개 전투비행중대와 1개 수송중대로 편성된 4만5천명의 병력과 해군과 해안경비대 5천명 총 5만명 규모의 군대 창설을 고려한다. 그러나 소련을 의식한 미국 행정부의 반대로 이 계획이 무산된다.

이에 따라 미 군정은 2만 5천명 규모의 경찰예비대(Police Constabulary) 창설을 위한 '뱀부계획(Bamboo Plan)'을 수립, 규모를 줄인 경비대 창설을 추진해 1946년 1월15일 ‘Korean Constabulary’(조선국방경비대)가 탄생시켰다.  우선 남한 8도에 1개 중대씩 병력을 확보한 후 필요시 단시일내에 연대로 확장한다는 계획이었다.  더불어 통역장교 양성을 위한 '군사영어학교(Militaly Language School)'을 설치한다.

'군사영어학교(Militaly Language School, 서대문 감리교신학교)'는 1946년 4월 30일 폐교되고 5월 1일 국방경비대 사관학교(태릉)가 개교하고 1948년 8월 15일 정부수립 이후 육군사관학교로 개칭된다.


미 군정의 '뱀부계획(Bamboo Plan)'에 따라 1946년 1월 15일 남한 8개도에 1개 중대씩 창설되고, 곧 9개 연대(제1연대(서울 태능), 제2연대(대전), 제3연대(전북 익산), 제4연대(전남 광주), 제5연대(부산), 제6연대(대구), 제7연대(청주), 제8연대(춘천), 제9연대(제주))로 확장되고, 1947년 12월 3개 여단(약 2만여명)으로 1948년 7월에는 15개 연대 5개 여단(제 1여단(서울), 제 2여단(대전), 제 3여단(부산)이 창설되었고 1948년에 제 4여단(서울), 제 5여단(광주), 약 5만여명)으로 증편된다.  '국방사령부' 내의 군사국은 조선경비대로 개칭된다.


한국전쟁 직전까지 육군의 총병력은 8개 사단 9만 5천여명이었다. 한국전쟁 휴전당시에는 3개 군단 18개 사단으로 증강하여 총병력 60만명이었다

한편 해군은 해방 직후 조직된 '해사대(海事隊)'를 근간으로 '해방병단(海防兵團)'으로 인가되었다가 '한국해안경비대'로 개칭된다.  1949년 해병대가 창설되고 5월 해군병학교를 토대로 해군사관학교가 개교한다.  한국전쟁 초기 28척의 경비정과 43척의 보조선과 해병대 1,241명을 포함하는 6,956명의 병력을 보유하였다.

28척의 경비함정은 제1정대(인천) 7척, 제2정대(부산) 7척, 제3정대(목포) 6척, 훈련정대(진해와 여수) 8척 (PC 701포함)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함정건조를 위한 모금을 통해 미국으로 부터 3인치 포를 장비한 전투함, 구잠함(驅潜艦) PC 701호, 702호, 703호, 704호를 구입한다.  1950년 4월 10일 PC 701호 '백두산호' 를 진해항에 기항했으나 한국전쟁 발발 당시 나머지는 하와이에 기항하고 있었고 7월 16일에 진해항에 입항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PC 701호 '백두산호'

해군 450t급 'PC - 701 백두산호'는 1950년 6월 25일 후방교란작전을 위해 북한 육전대와 유격대(600여명)가 탑승하고 동해안을 따라 부산으로 내려오던 북한 1,000t급 수송선을 발견하여 격침시킨다. 

이 함정은 방위성금 1만8천달러로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 연안 초계정 (PC-461 Class)이었떤 미국 뉴욕주 롱아일랜드의 해양학교 실습선 '화이트헤드 소위 (Ensign Whitehead, 450t급)'호를 구입한 것이다.  .

공군은 1948년 5월에 창설되어 9월 4일 육군항공사령부로 편성된다.  미 제7보병사단으로 부터 L-4 항공기 10대를 인수하여 비행 훈련을 시작한다.  1948년 10월 여순반란 진압작전에 투입되어 정찰, 연락, 수송, 전단살포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1948년 말 미군으로 부터 L-5 항공기 10대를 추가로 공급받는다.  1949년 1월 장교양성을 위해 육군항공사관학교를 창설하고 1949년 10월 1일 공군으로 독립한다 (대통령령 254호).  한국전쟁 초기 22대의 연락기(L-4, 8대, L-5, 4대)와 캐나다에서 구입한 T-6형 훈련기(10대)를 보유하고 1,897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1950년 6월 당시 한국군 배치 현황 ;

제1보병사단 ; 경기 개성, 문산지역 (사단장 ; 백선엽대령 <만주군 출신>)
   > 북한군 제1사단, 제 6사단 (방호산 소장)
제7보병사단 ; 경기 의정부지역 (사단장 ; 유재흥 준장 <일본군 출신>)
   > 북한군 제3사단 (이영호 소장), 제4사단 (이권무 소장), 제105전차여단
제6보병사단 ; 강원 춘천지역 (사단장 ; 김종오대령 <일본군 출신>)
   > 북한군 제2사단 (최헌 소장), 제12사단 (w/SU-76 자주포부대)
제8보병사단 ; 강원 강릉지역 (사단장 ; 이성가 대령 <중국군 출신>)
   > 북한군 제5사단 (오백룡 소장) (w/766부대, 549육전대, 독립기계화보병연대)
제17 독립보병연대 ; 황해 옹진반도 (연대장 ; 백인엽대령) 1950년 11월 제2보병사단 편입
   > 북한군 제3경비여단, 제6사단 14연대

제2보병사단 ; 충남 대전지역 (사단장 ; 이형군 준장 <일본군 출신>)
제3보병사단 ; 부산지역 (사단장 ; 유승렬 대령 <일본군 출신>)
제5보병사단 ; 전라 전주/광주지역 (사단장 ; 이용준 준장 <일본군 출신>)
수도경비사령부 ; 서울 (사령관 ; 이종찬 대령 <일본군 출신>)

사용자 삽입 이미지한국전쟁 당시 북진하는 한국군 병사들

2007년 미(美) CIA의 ‘2007세계군사력보고서’에는 세계 군사력 합계순위 발표에서 한국의 지상군 전력은 세계 4위 (병력 56만), 해군 전력 세계 8위 (병력 6만7천), 공군전력 세계 8위 (병력 6만천), 군사비 규모 세계 8위,  종합순위 세계 9위 (북한 18위)를 기록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