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쟁영화 감상究/밀리터리 군사무기140 한국군 MLRS (다연장 로켓) 부대 한국 육군은 1998년 M-270 MLRS (다연장 로켓시스템,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를 처음으로 도입하였다. M-270 MLRS (다연장 로켓시스템)은 북한에 대한 대화력전과 밀집된 부대에 대한 공격시 가장 강력한 파괴력을 발휘할 수 있는 육군의 전력으로 기대되고 있다. 1997년 7월 15일, 미국과의 장비도입계약(계약금액 3억 3천6백만불, 4,700억원)을 체결하여 1998년 M-270 MLRS 발사기 29문(1개 대대)과 M26 로켓포트 168개 (6발 로켓이 한개 로켓포트)과 더불어 M-577A2 지휘차량과 M-985 트럭 54대, M-88 구난전차가 도입되었다. 한국 육군은 2002년 5,000억 규모의 추가 계약을 통해 M-270A1 MLRS 발사기 29문(.. 전쟁영화 감상究/밀리터리 군사무기 2010. 12. 1. 러시아의 AK소총 생산공장 파산신청. 뉴스에 따르면 러시아의 자존심 칼라시니코프(Avtomat Kalashnikova, AK)소총을 생산하고 있는 이즈마쉬공장이 파산신청을 하였다고 한다. 최근 채권자인 그레미하(Gremikha)사가 1,300만달러를 갚을 것을 요구하자 이즈미쉬공장은 파산신청을 냈고 우드무르트공화국 수도 이제프스트법원에서 재판이 열렸다고 한다. 이번 파산신청의 배경에는 2007년부터 2년간 러시아 무기수출이 72%나 감소한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이즈미쉬공장도 2007년 베네수엘라에 AK소총 10만정(5,400만달러)를 수출한 것으로 마지막으로 다른 수출계약이 없었다고 한다. 재정러시아 당시인 1808년에 설립된 이즈미쉬공장은 소총 뿐아니고 자동차 등도 만들어온 대규모 복합공장이다. 이 공장에서는 미하일 칼라슈니코프가 개.. 전쟁영화 감상究/밀리터리 군사무기 2009. 10. 10. '모니터 보며 발사'…미군 최신 기관총 총알이 빗발치는 전쟁터. 장갑차 밖으로 상체를 내밀지 않고도 기관총을 발사할 수 있다. 최근 공개된 'XM153 CROWS'은 병사가 장갑차 안에서 모니터로 밖의 상황을 파악, 사격할 수 있다. 특수 비디오카메라와 리모콘 조정 센서가 장착돼 있다. 사격의 정교함과 화면 와이드 크기에 있어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XM153 CROWS'은 저격용 시스템 못지 않은 성능을 갖췄다고 한다.() 전쟁영화 감상究/밀리터리 군사무기 2009. 10. 5. MP40 기관단총 'MP40 (Maschinenpistole 40, 슈마이저 (Schmeisser)) 기관단총'은 MP36을 개량하여 1938년 MP38 기관단총이 독일국방군 제식기관단총으로 채택되었고 MP40은 보다 단순화된 개량을 한 기관단총이다. 제2차 세계대전 개전 당시인 1939년에는 MP38과 MP40의 중간단계인 MP38/40 기관단총이 사용되었다. 구경 9 mm 탄약 9x19mm 패러블럼 작동 방식 블로우백, 오픈 볼트 중량 4 kg (8.8 lb) 발사속도 500 발/분 총구 속도 ~380 m/s 최대 사거리 100 m 전쟁영화 감상究/밀리터리 군사무기 2008. 9. 26. T-80U 전차 (T-80U Main Battle Tank) T-80U 전차 (T-80U Main Battle Tank)은 러시아 옴스크(Omsk) 트란스마쉬사가 생산하는 3.5세대 전차로 1976년 세계 최초로 가스터빈 엔진을 장착했던 T-64 전차의 후속 모델로 개발이다. 한국군은 러시아 경협차관의 현물상환 '불곰사업'의 일환으로 1996년 9월 1차로 33대을 들여와 육군기계화학교에서 교육용으로 검토하였고 이후 러시아 보병전투차량 BMP-3와 함께 2004년 동부전선 제3기갑여단에 실전 배치하였다. 2005년 T-80UK 전차 2대가 추가로 도입되었다 전체 길이 9.66 m 차체장 7 m 전체 폭 3.6 m 전체 높이 2.2 m 중량 46 t 서스펜션 토션바 방식(torsion bar) 승무원 3 명 주포 125 밀리미터 2A46M-1 활강포 또는 125 밀.. 전쟁영화 감상究/밀리터리 군사무기 2008. 9. 24. 슈타이어(Steyr) AUG A1 돌격소총 Steyr AUG (Armee Universal Gewehr) 소총은 오스트리아의 슈타이어 (Steyr Mannlicher)사에서 1977년 개발한 불펍식 돌격소총이다. 이 소총은 영국 SAS, 필리핀 특수부대, 파키스탄 특수부대 등 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오스트리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룩셈부르크, 아일랜드 등에서 제식소총으로 채택하고 있다. 종류 불펍식 돌격소총 구경 5.56 mm 탄약 5.56 × 45 mm NATO 강선 6조 우선, 9인치에 1회전(AUG A1) [1] 급탄 30/42 발 들이 반투명 탄창 작동 방식 가스 작동식, 회전 노리쇠 방식 총열 길이 508 mm 전장 790mm 중량 3.6Kg (탄창 없이) 발사속도 분당 650 발 총구 속도 992m/s 유효 사거리 450~500m 전쟁영화 감상究/밀리터리 군사무기 2008. 8. 29. 한국형 구축함 (DDH-Ⅱ)인 ‘최영함(崔瑩艦)’ 취역 한국 해군의 핵심 전투세력으로 임무를 수행하게 될 6번째 한국형 구축함 (DDH-Ⅱ)인 ‘최영함(崔瑩艦)’ (DDH-981, 4천 200t급)이 해군작전사령부 부산기지에서 취역하였다 최영함은 길이 150m, 폭 17.4m, 높이 40m, 탑승인원 300명에 최대 30노트의 속도를 낼 수 있으며 항속거리는 1만200km에 달한다. 5인치 주포 1문과 근접방어 무기체계인 골키퍼, 대함.대공 유도탄, 어뢰 등으로 무장한 이 함정은 대함(對艦), 대공(對空), 대잠(對潛), 대지(對地) 및 전자전(電子戰) 수행이 가능하다. 또 적 레이더의 탐지 가능성을 감소 시킬 수 있도록 스텔스 기법이 적용된 최첨단 구축함으로 설계됐다. 이날 최영함이 취역함으로써 해군은 3척의 광개토대왕급(DDH-Ⅰ) 구축함과 6척의 충무공.. 전쟁영화 감상究/밀리터리 군사무기 2008. 8. 28. 한국군 차기 보병화기 XK-11 미군은 실전에서 보병분대의 화력은 보병 각자의 소총보다 분대 공용화기인 기관총과 유탄발사기에 크게 의존한다는 사실과 유탄발사기를 개량하면 화력의 변화가 소총보다 클 것으로 기대했다. 이에 따라 '보병전투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획기적인 개인화기 개발' 프로젝트 OICW(Objective Individual Combat Weapon, 이중총열복합화기)를 수행한다. 이런 과정을 거쳐 개발 중인 미군의 차기 보병소총이 XM29 OICW 이다. 한국은 국방과학연구소에 의해 1998년 부터 차기보병소총 개발계획 (KNR, Korea Next generation Rifle)이 추진되어 최근 한국형 차기 복합소총 XK-11을 개발하는데 성공하여 곧 분대지원화기로 분대 당 2정씩 실전 배치할 예정이다. 한국형 차기 복합.. 전쟁영화 감상究/밀리터리 군사무기 2008. 8. 25. 다연장 로켓시스템 MLRS (Mutiple Launch Rocket System) MLRS(Mutiple Launch Rocket System) : 다연장 로켓시스템 1930년대 소련에서 개발되어 일명 '카츄샤'로 불리우며 제2차 세계대전에서 사용되었던 '다연장 로켓시스템(MLRS)는 총 12발의 대형 지대지 유도로켓을 적재하며 경우에 따라선 탄도미사일인 ATACMS(ARMY TACTICAL MISSILE SYSTEM, 장거리 육군전술 미사일시스템)도 운용할 수 있다. 높은 화력 집중성, 기동성, 사거리 연장의 용이성 등의 장점을 지닌 MLRS는 전선 깊숙하게 위치하는 적기갑부대, 포병, 지휘·통신 시설 등 광범위하게 분산한 목표에 대해 단시간에 대량의 로켓탄을 발사하는 자주 로켓 발사기를 중심으로 하는 병기시스템이다. 중량 : 26톤 발사속도(발/분) : MLRS:12, ATACMS.. 전쟁영화 감상究/밀리터리 군사무기 2008. 8. 1. 러시아 152mm 2S3 M-1973 Akatsiya 자주포 그루지야, 남오세티야전선에 투입된 "러시아 152mm 2S3 M-1973 Akatsiya 자주포" 전쟁영화 감상究/밀리터리 군사무기 2008. 7. 20. 미 해군 이지스 구축함 USS Chafee (DDG 90) 알레이 버크급 이지스 구축함 USS Chafee (DDG 90, 9,300t) Namesake: John Chafee Ordered: 6 March 1998 Laid down: 12 April 2001 Launched: 2 November 2002 Commissioned: 18 October 2003 Motto: Commanding the Seas # 한국언론 사상 처음 미 이지스함 동승취재 전쟁영화 감상究/밀리터리 군사무기 2008. 7. 20. 미국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 원 (Air Force One)' VC-25A 에어포스 원 (Air Force One)은 대통령이 탑승했을 때만 부르는 미 공군의 호출부호(Call Sign)로 보잉 747-200(Boeing 747-200B)을 개조한 대통령 전용기 (Presidential Transport Fleet)를 지칭한다. 1990년 보잉에서 제작된 747-200 두 대(28000, 29000)은 대통령과 수행원이 나누어 탑승하며 보안유지를 위해 출발시 두 대가 동시에 이륙한다. 대통령 전용기에는 비상시 전세계 미군을 지휘할 수 있는 통신시설과 적의 미사일, 레이더 추적을 막을 수 있는 교란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물론 회의실, 식당, 대통령 숙소 및 수행원을 위한 사무실 등 '날아다니는 집무실'로써의 편리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대통령 전용기 '에어 포스 원'을 배경으로 .. 전쟁영화 감상究/밀리터리 군사무기 2008. 7. 19. 이전 1 2 3 4 5 ··· 1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