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함께하는 영화話 166

`색, 계` `명장` 아시안필름어워드 최다 노미네이트

리안(李安) 감독의 '색, 계'와 천커신(陳可辛) 감독의 '명장'이 올해 2회째를 맞는 아시안필름어워드의 최다 부문에 후보를 올렸다. 영화전문지 버라이어티가 홍콩발로 전한 기사에 따르면 3월17일 홍콩에서 열리는 아시안필름어워드에 두 영화는 6개 부문에서 후보작으로 올랐으며 최우수작품상에서도 경쟁하게 됐다. 홍콩을 아시아영화의 중심으로 만들겠다는 야심찬 계획으로 시작된 아시안필름어워드는 작년 창설한 후 아시아 영화인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단박에 부산국제영화제 못지 않은 지명도를 얻고 있다. 이어 중국 배우 겸 감독인 장 웬이 3년 간의 제작 기간 끝에 만들어낸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 (The Sun Also Rises)'가 5개 부문에 올랐고, 이창동 감독의 '밀양'은4개 부문에 후보를 냈다. 작년 베니스..

홍콩극장가 - 영화 <집결호>(Assembly 集結號) 화제의 상영 중

2007년 부산영화제 개막작으로 상영되고 2007년 12월말 중국에서 개봉되어 크게 화제를 모으고 있는 영화 (Assembly 集結號. 펑샤오강 馮小剛 감독)가 홍콩에서 개봉되었다. 평론가나 언론들은 이번 영화가 본토중국 영화시장에 한 획을 그은 대단한 영화라고 소개하고 있는데 이유는 중화권을 대표하는 톱스타급 배우들의 출연을 배제, 중국 영화역사상 최초로 1948년에 발생한 중국내전을 배경으로 한 블록버스터 전쟁영화라는 영화소재, 배우들의 혼신의 힘을 다한 연기와 짜임새 있는 극중 전개 등 기존의 고대 중국을 배경으로 해온 비스무리 한 블록버스터와는 획기적으로 차별되는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 이라고 한다. 특히 영화 외적으로는 한국에서 공전의 히트를 기록한 전쟁영화 에 참여한 한국 특수 효과 팀..

선동 혹은 고발하는 전쟁영화들을 보며 전쟁중독을 생각하다

전쟁이란 광풍은 우리 인간의 삶을 송두리째 흔든다. 전쟁은 인간관계를 파괴하면서 어제까지의 친구를 가해자와 피해자로 나눈다. 아울러 폭력에 중독된 인간들을 만들어낸다. 인간은 전쟁이 자아내는 폭력을 두려워하지만, 전쟁을 실제로 체험하기란 쉽지 않다. 따라서 과연 전쟁이 어떠한 것일까에 강한 호기심을 갖고 있다. 그래서 전쟁영화를 본다. 전세계를 통틀어 지금껏 상영된 전쟁영화는 3500개쯤. 그 가운데 상당수는 국가정책적 필요에 따라 그럴듯한 애국 논리로 젊은이들을 전선으로 내몰기 위해 만들어졌다. 반전평화 메시지를 담은 독립적인 전쟁영화들도 물론 있다. 전쟁 자체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그런 영화들 속에 등장하는 배우들은 실제로 있을 법한 갖가지 인간 유형들을 보여준다. 전쟁을 반대하는 평화주의자, 전쟁이 ..

전쟁영화 봇물 …中극장가 ‘新르네상스’

전쟁을 소재로 한 천커신(陳可辛)과 펑샤오강(憑小剛) 감독의 블록버스터급 ‘허쑤이피엔(賀歲片.연말연시 흥행을 겨냥한 대작)’이 중국 극장가에 흥행 돌풍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베이징(北京)과 상하이(上海) 등 주요 도시 극장가는 요즘 오후 7시께면 천 감독의 ‘터우밍좡(명장, 投名狀)’과 펑 감독의 ‘지제하오(집결호, 集結號.나팔소리)’를 보려는 관객들로 발 디딜 틈 없이 붐비고 있다. 영화팬들은 “오랜만에 재미있고 감동적인 영화를 봤다”며 만족감을 표시한다. ‘허쑤이피엔(賀歲片)을 본 뒤 으레 영화사 측에 욕을 퍼붓던 예전 모습과는 사뭇 다른 표정이다. 두 편의 전쟁영화는 ‘중국의 흥행 대작은 모두 무협영화’라는 고정관념을 무너뜨리며 중국 영화의 새로운 르네상스를 예고하고 있다. 지난달 중순부터 한 주 ..

중국 극장가, 전쟁영화 두편 대결구도

펑샤오강 감독의 전쟁영화 가 12월20일 중국에서 개봉해 정상을 차지했다. 의 첫주 성적은 203만달러로 2006년 중국 최고 흥행작인 장이모 감독의 의 개봉수입과 같다. # 중국 최초의 전쟁블록버스터영화 "집결호" (集結號, The Assembly) ; 화이하이전투 (淮海戰役, Huaihai Campaign) 지난주 1위로 개봉한 진가신 감독의 은 의 개봉과 함께 2위로 내려섰는데, 중국에서 제작한 두편의 전쟁영화가 상위를 차지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2007년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이었던 는 2008년 1월 홍콩, 동남아시아 등에서 개봉을 이어갈 예정이다. 1948년 9월 부터 1949년 1월까지 벌어진 화이하이전투(淮海戰役, Huaihai Campaign)는 쉬저우(徐州)를 중심으로 국민당의 류즈(劉峙..

진가신 감독 <명장> (The Warlords, 2007) 개봉 첫주 흥행

19세기 청나라말, 태평천국(太平天國)의 난(1850년~1864년)을 배경으로 하는 전장의 세 남자 이야기를 그린 진가신(Peter Chan, Ho-sun Chan, 陳可辛)감독의 신작 전쟁영화 (The Warlords, 投名状, 2007)이 아시아 5개 지역에서 개봉 첫주 상위에 랭크됐다. 이연걸(Jet Li, 李連杰), 유덕화(Andy Lau, 劉德華), 금성무(Wu Jincheng)가 출연하는 은 중국에서 1220만달러를 벌어들이며 2007년 자국영화 개봉작 중 최고 기록을 세웠고 홍콩,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타이 등에서도 상위권에 안착했다. 첫주 총수입은 1550만달러이고 12월28일 대만에서도 개봉할 예정이다. # 전쟁은 지상의 지옥이다! 대규모 전투 장면 (CNB뉴스 2007-12-27) (..

미 CIA , 비밀 전쟁(Secret War)의 희생자들 '몽족(Hmong People)'

미국의 인도차이나 비밀전쟁(Secret War)과 관련되는 영화 ; # 이역 2 - 고군 (孤軍, End Of The Road, 異域之末路英雄) 1993년 홍콩 “베트남전쟁에서 그대들(미국)을 도왔던 우리(라오스 몽족(Hmong People) 전사)에게 안심하고 살 수 있는 곳을 제공해달라. 그럴 수 없다면 차라리 폭탄을 떨어뜨려 이 비참한 삶에 종지부를 찍어달라." 베트남전쟁 때 미국 CIA(중앙정보국)를 도와 베트콩의 보급로를 차단하고, 미군 포로를 구출하는 임무를 수행했던 몽족(Hmong People) 용병 수천명이 베트남전쟁이 끝난 지 30여년이 넘은 지금도 라오스의 정글에 숨어 비참하게 살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7일 보도했다. 라오스 북부 비엔티안 지방을 지나는 메콩강에서 동쪽으로 1..

랩퍼를 꿈꾼 소년이 총을 들어야 할 때

열두 살 된 소년은 랩을 듣고 빠져든다. 아프리카 시에라리온에 전운이 감돌고 있었지만 소년은 그것이 머나먼 곳의 이야기일 거라 생각했다. 소년은 설레는 마음으로 최신 유행의 복장을 하고 주머니에는 랩 테이프를 넣고 집을 나섰다. 그런데 어처구니없게도 그 사이에 반군이 마을을 공격해온다. 가족이 어떻게 됐는지도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소년은 피난을 떠나게 된다. 이스마엘 베아의 은 전쟁을 경험한 열두 살의 소년의 이야기를 담은 논픽션이다. 전쟁. 지금 전쟁이라는 단어는 우리에게 낯설게 다가온다. 그것은 과거의 단어이며 소년이 그랬듯 먼 곳의 이야기처럼 다가온다. 하지만 이 책은 논픽션다운 힘으로 무장해있어 그런 마음을 단단히 잡아끈다. 전쟁에 빠져들고, 전쟁을 체험해야 했으며, 전쟁의 일부가 된 소년의 이야..

Try Not to Remember - Sheryl Crow

이라크전쟁에 참전하였다 귀향한 병사들이 전쟁에서 받은 충격속에서 돌아온 사회에 적응하는 힘겨운 과정을 그린 영화 홈 오브 더 브레이브 (Home Of The Brave, 2006년)의 사운드트랙 "Try Not to Remember - Sheryl Crow" . Try to erase the smell of freedom and every face that happens to remind what still remains something unrelenting I'll say the names of those I left behind In the still of the night do you laugh, do you cry when you try not to remember If it's a questi..

미군 ‘전쟁에 지쳤다’…탈영병 급증

최근 발표된 자료에 의하면 미 육군의 탈영병(脫營兵, deserter) 수가 지난 1980년 이후 최대비율에 이른다고 한다. 특히 2003년 미국의 이라크침공 당시와 비교하여 80%가 증가하였다고 한다. 이는 2001년 아프간침공, 2003년 이라크침공 등 계속되는 미군의 전쟁수행에 따른 피로감이 증가한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미 육군의 탈영병(脫營兵, deserter)은 2007년 4,698명으로 1천명당 9명의 비율을 보였다. 이는 2006년 3,301명으로 1천명당 7명의 비율에 비해 42%가 증가한 숫자이다. 미 육군 탈영병(脫營兵, deserter) 수는 1970년대 베트남전쟁 당시 100명 중 5명(5%)을 정점으로 감소세를 보였고 1990년대에는 0.2~0.3%로 안정을 유지했다. 1990년대..

반응형